본문 바로가기

종합소득세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우리카드 1년치 사용내역 엑셀 PDF 저장방법

반응형

종합소득세 신고 우리카드 1년치 사용내역 엑셀 PDF 저장방법

5월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종합소득세 신고. 개인사업자 또는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사람이라면 이 시기에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이 바로 카드 사용내역입니다.

특히 우리카드 사용내역을 주로 쓰는 분들이라면, 홈택스나 세무사 제출용으로 1년치 카드내역을 미리 정리해두는 것이 필수입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우리카드 1년치 사용내역 엑셀 PDF 저장방법

그럼 우리은행 체크카드 및 신용카드의 1년간 사용내역을 엑셀 다운로드부터 PDF 저장까지의 전 과정을 실제 사용하는 메뉴 기준으로 상세히 안내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를 정확하게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개인사업자 카드지출 내역을 증빙할 수 있는 문서를 준비해야 합니다. 그중 우리카드 사용내역은 간단한 설정만으로 1년치 전체 데이터를 확인하고 저장할 수 있어, 매년 신고 준비 시 많은 분들이 찾는 자료입니다.

먼저 우리카드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해 로그인을 완료합니다.

로그인 후 상단 메뉴에서 ‘이용내역 조회’를 찾은 뒤, 해당 항목을 클릭해 상세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기본 설정은 최근 3개월 기준이므로, ‘조회기간 설정’에서 반드시 2024년 1월 1일 ~ 2024년 12월 31일로 직접 입력해야 합니다. ‘전체’, ‘1년’ 등의 버튼이 있는 경우에도 종합소득세 신고용 기간과 정확히 맞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수동 입력이 가장 안전합니다.

조회 결과가 나타나면, 페이지 하단 또는 상단에 있는 ‘엑셀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해 데이터를 엑셀 파일로 저장합니다. 일부 환경에서는 팝업이 차단될 수 있으니, 엑셀이 저장되지 않는 경우에는 브라우저 상단에서 팝업 허용 설정을 확인해야 합니다.

저장된 엑셀 파일을 열어보면 승인일, 결제금액, 가맹점명, 카드번호 등이 항목별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 내역은 소득공제 증빙자료로 활용 가능한 수준의 상세 정보를 담고 있어, 바로 제출용으로 준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홈택스나 세무사에게 제출할 때는 가공이 불가능한 PDF 파일 형식을 요구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는 엑셀 파일을 연 뒤, 상단 메뉴의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클릭하고 저장 형식을 PDF로 변경하여 PDF 저장을 완료하면 됩니다.

PDF로 변환할 때는 인쇄 미리보기를 통해 표 전체가 잘려나가지 않도록 페이지 설정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열 너비나 여백이 비정상적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제출 시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꼼꼼히 확인하세요.

우리카드 사용내역을 기준으로 한 종합소득세 신고 준비는 생각보다 복잡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건 1년치 카드내역을 정확히 설정하고, 엑셀 다운로드PDF 저장까지 마무리해두는 것입니다. 특히 개인사업자 카드지출 내역은 소득공제 증빙자료로도 활용도가 높기 때문에, 신고에 앞서 자료 정리에 시간을 투자해두면 나중에 훨씬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FAQ

우리카드에서도 1년 전체 카드내역을 확인할 수 있나요?

네. 조회기간을 직접 설정하면 1년치 카드내역도 문제없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자동 버튼이 아닌 수동 입력이 정확합니다.

왜 PDF로 저장해야 하나요?

소득공제 증빙자료로 제출할 때는 수정 불가능한 문서 형식을 요구받는 경우가 많아 PDF 저장이 권장됩니다.

모바일에서도 엑셀 저장이 가능한가요?

우리카드 앱에서는 일부 기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엑셀 다운로드PDF 저장은 PC 환경에서 진행하는 것이 정확하고 안정적입니다.

다른 카드사와 방식이 많이 다른가요?

기본 흐름은 유사하지만 메뉴 위치와 용어가 달라 혼동될 수 있습니다. 각 카드사별 안내에 따라 따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사업자 외에도 프리랜서도 이 방법을 사용하나요?

네. 프리랜서 역시 종합소득세 신고우리카드 사용내역을 기반으로 소득공제 증빙자료를 제출할 수 있으므로 같은 방법을 적용하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